한국인의 스트레스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책소개
『한국인의 스트레스』는 한국인 토착심리 탐구를 위한 문화심리학 총서로서 2017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선정과 함께 개정된 2판에는 제4장 청소년 스트레스 토착심리, 제5장 성인 스트레스 토착심리 2개 장이 추가되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숙명여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교육심리학을 전공하였고, 1993년부터 지금까지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그동안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한국여성심리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한국교육심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 왔다. 저서로는『한국 청소년의 일탈행동과 학교폭력(2015)』,『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2014)』,『한국인의 성취의식(2013)』,『한국 청소년문화와 부모자녀관계(2004)』,『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2004)』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한국인 토착심리, 교육심리, 부모자녀관계, 효도, 성취, 일탈행동, 자기효능감, 행복, 삶의 질, 스트레스 등이다.
|||Queen’s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사회심리학을 전공하였고, 현재 인하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University of Hawaii 심리학과 조교수, 동경대학교 사회심리학과 부교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회장, Asian Association of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회장,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pplied Psychology, Psychology and National Development Division 회장 등의 학술활동을 해왔다. 저서로는『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Springer(2006)』,『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Sage(1994)』,『Indigenous psychologies, Sage(1993)』 등이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토착심리, 사회심리, 문화경영, 비교문화심리, 창의성, 자기개념, 스트레스, 자녀가치 등이다.
목차
1판 머리말 9
2판 머리말 13
제1부 한국인의 스트레스 토착심리 37
제1장 IMF시대 이전 한국인의 스트레스 39
1. 서론 40
2. 이론적 배경 41
1) 토착심리학적 접근방법 41
2) 스트레스의 정의와 구성요소 46
3) 연구 모형 47
4) 스트레스 유발요인 48
5)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50
6)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 50
7) 스트레스와 대처 52
8) 스트레스 결과 54
9) 스트레스에 대한 문화적 접근 54
3. 방법 56
1) 분석대상 56
2) 측정도구 56
4. 결과 57
1)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건 57
2)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사고와 정서 58
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 62
4)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와 효과 66
5. 논의 및 결론 70
1) 한국인 스트레스의 토착심리 70
2)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 76
제2장 IMF시대 한국인의 스트레스 79
1. 서론 80
2. 방법 84
1) 분석대상 84
2) 측정도구 85
3) 실시방법 86
3. 결과 86
1)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건 86
2) 스트레스를 경험했을 때의 사고와 정서 88
3)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사회적 지원 93
4)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와 효과 97
4. 논의 및 결론 100
1) 경제 불황 전후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대한 결과 비교 101
2) 변화에 대한 이해: 사회변화와 스트레스 경험 103
3) 변화하지 않는 측면: 한국인의 스트레스 대처와 사회적 지원 105
제3장 IMF시대 이후 한국인의 스트레스 109
1. 서론 110
2. 방법 116
1) 분석대상 116
2) 측정도구 118
3) 실시방법 118
3. 결과 119
1) 초·중·고·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 119
2) 초·중·고·대학생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 122
3)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 126
4) 부모의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지원 129
5) 부모와 자녀의 스트레스 비교 132
4. 논의 및 결론 135
1) 한국인의 스트레스 경험, 대...(하략)